1. 양극성 장애란 무엇인가?
예전에는 조울증이라고 불렸던 양극성 장애는 기분 장애의 유형 중 하나이며, 일반적으로 우울증의 기간과 조증의 기간이 순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일반적으로 우울한 시기가 조증기보다 더 오래 지속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조증은 적어도 1주일 동안 고조되거나 확장되거나 짜증나는 기분의 뚜렷한 기간이 있다면 진단될 수 있습니다. 이 행동은 다음 증상들 중 세 가지와 연관되어야 합니다: 과장된 자부심(자존감) 또는 큰 자신감, 수면 필요성 감소, 격앙된 언어, 사고비약(flight of ideas or racing thoughts), 산만함, 목표 지향의 증가, 활동이나 정신운동의 동요, 고위험 활동(종종 성적[sexual] 또는 재정적 성격)에 대한 관여. 이러한 증상들은 정상적인 기능에 현저한 손상을 초래해야 하며 의학적 질병이나 약물 남용으로 인한 것이 아니어야 합니다. 조증은 정신병적 특징(psychotic features)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습니다. 양극성 장애는 양극성 I(주요 우울 삽화가 있든 없든), 양극성 II(우울증 삽화가 있는 간헐적 경조증), 순환성(cyclothymic, 반복적 기분부전 및 경조증 삽화)을 포함한 여러 하위 유형으로 나뉩니다. 혼합 상태는 환자가 최소 1주일 동안 조증 증상과 우울증 증상에 대한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상태입니다. 양극성 장애는 남성과 여성에서 동등하게 나타나며 발생하는 인종에도 차이를 보이지 않습니다.
양극성 장애의 발생원인은 다양한 인자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됩니다. 모든 조울증 환자의 약 50%에서 기분 장애를 가진 부모를 가지고 있는 것을 비추어 볼 때 강력한 유전적 요소가 있습니다. 일란성 쌍둥이의 경우에는 양극성 장애가 40%의 일치율을 보이는 반면, 이란성 쌍둥이의 경우 6%입니다. 정상적인 감정 반응과 관된 뇌 영역인 전전두엽 네트워크 및 변연계 부위(ventral prefrontal networks and limbic regions)는 양극성 장애 환자에서 기능성 MRI에서 연결성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부정적인 삶의 사건과 같은 환경적 요인은 양극성 장애의 소인이 있는 사람에게 조울증 발병 가능성을 높입니다.
2. 양극성 장애의 임상적 특징
조증 환자는 재미있고, 활기찬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주의해야 합니다. 만약 세워둔 계획들이 제공자나 가족 구성원들에 의해 반감을 산다면 환자는 빠르게 짜증을 내거나 심지어 적대적이 될 수도 있습니다. 조증 환자는 통찰력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거창하거나 망상적인 아이디어와 인지 능력의 상실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조증 환자에 대한 초기 평가는 다른 정신 질환 환자에 대한 평가와 유사합니다. 갑상선 질환, 급성 독성 섭취(코카인, 각성제 등), 약물 금단(항우울제, 알코올, 벤조디아제핀 등)과 같은 비정신과적 원인을 고려해봐야 합니다. 조현병 및 주의력 결핍 장애와 같은 다른 정신 질환들은 특징들이 양극성 장애의 조증 단계와 비슷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감별해야 합니다. 양극성 장애를 보이는 환자들은 대부분은 처음에는 우울증으로 진단되기 때문에 우울증의 이전 이력에 대해서도 확인을 해야 합니다.
3. 양극성 장애의 치료
양극성 장애의 치료는 복잡하고 종종 하나 이상의 약물이 필요하므로 급성 불안의 치료 또는 리튬 또는 최근 중단된 항경련제를 다시 시작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응급의학과 의사가 치료를 시작해서는 안됩니다. 급성 조증 환자를 치료하는 약에는 항정신병 약물(예: 할로페리돌) 또는 벤조디아제핀을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은 리튬, 발프로산 또는 카르바마제핀과 같은 기분 안정제가 포함됩니다. 유지 치료에도 동일한 기분 안정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리튬과 발프로산은 양극성 유지 치료를 위한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들과 병용할 수 있습니다. 리튬은 치료 지표(therapeutic index)가 좁기 때문에 잦은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리튬을 복용하는 환자는 독성 수치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탈수를 피해야 합니다. 조울증에서 항우울제 사용의 효과는 조증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성 때문에 불분명합니다.
양극성 장애 환자에서는 자살위험에 대해 신중한 평가해야하며, 이는 우울장애 환자와 유사합니다. 인지 능력의 상실에 대한 통찰력의 부족과 망상적 생각은 명시적으로 표현되지는 않았지만 환자를 자해할 상당한 위험성이 있습니다. 정신병적 증세를 보이거나 본인이나 타인에게 위해를 끼칠 위험이 있는 조울증 환자는 입원을 위해 정신과 의사의 평가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의학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동맥 박리, 드물지만 치명적인 질병 (0) | 2022.08.26 |
---|---|
자궁외 임신, 초기 임신에서 산모 사망 원인 (0) | 2022.08.24 |
불안장애, 패닉? 공황장애? PTSD? (0) | 2022.08.22 |
심내막염, 심장판막에 혈전이 생기는 병 (0) | 2022.08.21 |
뇌내출혈, 고혈압이 일으킬 수 있는 뇌출혈 (0) | 2022.08.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