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부고환염(epididymitis)이란?
부고환염이나 부고환-고환염의 통증의 시작은 갑자기 발생하지 않고 대부분 점진적으로 천천히 발생합니다. 부고환염의 원인은 대부분 세균 감염으로 인해서 발생합니다. 환자가 성적으로 활발하거나 성병의 발생에 대한 고위험군을 배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성병에 의한 부고환염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임질이나 클라미디아를 커버할 수 있는 치료를 시행해야만 합니다. 항문 삽입성 교류(항문 성교)의 환경에서는 더 흔한 성병 감염 유기체와 더불어 하부 요로의 대장균 감염을 고려해야만 합니다. 고령의 남성에서 부고환염은 대부분 대장균, 클렙시엘라 등 비뇨기 병원균에 의해 발생하지만, 위험요인에 따라 성병에 의해 감염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부고환염과 요로감염이 있는 노인의 경우에는 전립선 비대증 또는 요도 협착과의 관련성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방광에 잔뇨량이 많을 경우(50~100mL 이상의 소변)는 환자의 감염의 원인으로 요로의 배출구 폐색을 고려해야 합니다.
부고환염은 하복부, 사타구니, 음낭 또는 고환의 통증을 나타낼 수 있으며, 어느 한곳만 아플수도 있고 다양한 부위가 함께 복합적으로 아플 수도 있습니다. 전립선 부분의 요도에서 부고환으로의 감염의 역행적 진행 상태에 따라서 통증의 위치가 달라지게 됩니다. 부고환염은 요도염과 비교할 때 더 진행된 비뇨기계 감염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부고환염 환자는 하부 요로 배뇨의 불편함을 더 잘 느끼며, 음낭이 들어올린 상태에서 배횡와위(recumbent position)의 자세로 있을때 일시적인 통증 완화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감염된 쪽의 부고환(globus minor부분, 부고환의 꼬리부분, vas deferens와 연결되는 쪽)에서 부동성의 단단함과 결절이 나타납니다. 이 후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부고환과 고환 사이의 고랑(sulcus)이 제거되고, 염증성 부고환 덩어리가 고환과 인접하여 고환 염전이나 농양을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는 크고 부드러운 음낭 종괴(부고환-고환염)를 보일 수 있습니다.
소변 검사에서 환자의 약 절반에서 농뇨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성병의 가능성이 있는 사람에게서는 성병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어린이와 노인에게는 소변 배양 검사를 함께 시행합니다. 컬러 도플러 초음파 또는 방사성 핵종 신티그래피와 같은 검사를 통해 고환으로 가는 혈류량이 증가하거나 보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초음파에서 반응성 음낭수종(hydrocele)이 관찰될 수 있습니다.
2. 부고환염의 치료
부고환염의 경우 대부분 경구 항생제로 치료가 될 수 있습니다. 2015년 질병관리본부 권고안은 35세를 기준으로 성병 감염 가능성을 고려하도록 지시하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부고환과 관련된 성병은 모든 연령에서 발생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의사는 이러한 성병과 관련된 감염을 확실하게 배제할 수 없는 한 항생제 치료시 성병과 관련된 감염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부고환염의 입원기준은 발열 및 임상 상태를 고려하며, 부고환이나 고환에 농양 형성을 나타날 경우에 입원치료를 해야만 합니다. 보행이 가능한 환자는 음낭 지지대를 착용해야 하며, 배변을 할 때 무리한 힘을 가하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는데, 두 경우 모두 복부 내 압력이 증가하고 염증 주기가 악화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후속 조치에 대한 필요성과 긴급성은 질병의 심각성과 합병증에 따라 다릅니다. 입원이 필요 없는 중증 부고막염 환자는 3~5일 이내에 비뇨기과 의사의 진찰을 받을 수 있도록 외래를 잡아야 합니다. 경증 환자는 임상적 개선과 업무 제한에 대한 결정을 위해서 1차 치료를 5~7일 정도 한 후에 재평가할 수 있습니다(즉, 앉아 있는 근로자는 육체 노동자보다 더 빨리 업무에 복귀할 수 있음).
3. 고환염과 고환암
고환에 단독으로 염증이 발생하는 고환염은 매우 드물며 보통 유행성 이하선염(볼거리)이나 다른 바이러스성 질환(콕사키 바이러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수두 또는 에코바이러스)과 같은 다른 전신 감염과 함께 발생합니다. 유행성 이하선염은 70%의 경우에 한쪽 고환에 고환염이 발생하고, 그 후 1일에서 9일 사이에 반대쪽 고환에 이어서 발생합니다. 세균성 고환염은은 거의 항상 부고환염과 관련이 있습니다.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의 고환염은 마이크로박테리아증, 크립토코커스증, 톡소플라스마증, 칸디다증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환염 환자들은 보통 며칠 동안 고환의 압통과 붓기를 보입니다. 진단은 병력 청취 및 신체검사를 이용한 임상 진단이지만, 초음파에서 고환 염전이나 농양을 배제하는 것은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급성 증상에 대한 치료는 부고막염과 같이 항생제로 시작합니다. 정맥주사를 통한 항생제는 전신적 증상을 가진 환자에 대해 고려해야 합니다. 면역 저하 환자 또는 결핵에 대한 위험이 있는 환자(노출, 통제되지 않은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 또는 당뇨병)에 대해서는 추가 평가가 필요합니다.
고환암의 특징은 단단하거나 경직된 무증상 고환 종괴입니다. 종양의 10%에서는 고환염으로 오인될 수 있는 고환 통증을 나타내는데, 이는 종양 내에서 급성 출혈에 의한 2차적인 통증때문입니다. 전이성 고환 종양은 설명할 수 없는 쇄골상 림프절병증, 복부 종괴 또는 폐 전이로 인한 만성 기침이 나타날 수 있어 해당 증상이 있는 모든 남성에게 의심되어야 합니다. 고환 검사에서 원발성 종양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설명할 수 없는 모든 고환 종괴는 긴급히 비뇨기과적 전문의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의학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탈장, 인구의 10%에서 발생하는 질환 (0) | 2022.09.26 |
---|---|
폐색전증, 설명되지 않는 호흡곤란 (0) | 2022.09.22 |
고환 염전, 6시간안에 풀어줘야 하는 병 (0) | 2022.09.20 |
위염, 소화성 궤양, 속쓰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0) | 2022.09.20 |
길랑바레 증후군, 진행하면 숨쉬기도 힘들어지는 병 (0) | 2022.09.18 |
댓글